Posts
Showing posts from June, 2024
퇴직금은 고용 형태(정규직, 계약직, 일용직 등)와 관계없이 받을 수 있다. 다만 근로기준법상 단시간근로자(1주 15시간 이하 근로자)는 퇴직금 지급 대상이 아니다
- Get link
- X
- Other Apps
"근로기준법상 퇴직금 지급의 전제가 되는 근로자의 상근성·계속성·종속성은 최소한 1개월에 4, 5일 내지 15일 정도 계속 근무했다면 충족한다"라는 기존 대법원판결을 근거로 "(전체기간에) B의 근무 일수는 1개월 기준 최소 11일 이상이므로 퇴직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지적
- Get link
- X
- Other Apps
"형식상으로는 비록 일용직이라고 하더라도 일용관계가 중단되지 않고 계속돼 온 경우에는 상용근로자"라며 "근로자가 반드시 월평균 25일 이상 근무해야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
- Get link
- X
- Other Apps
미국 법무부도 연방대법원에 ‘본건은 상업적 거래가 아닌 주권면제 대상에 해당해 관할이 없으므로 상고를 기각해야 한다’라는 취지의 의견서를 제출했다
- Get link
- X
- Other Apps
″헌법 84조는 대통령에 대한 소추를 불허하는데 그렇다면 ′소추′가 뭐냐, ′국가소추주의′를 규정한 형사소송법 246조를 보면 ′공소제기′와 ′공소수행′으로 정의하고 있다
- Get link
- X
- Other Apps
보안각서 작성 시 인적사항을 허위로 작성하여 제출하는 경우, 형사상과 민사상의 여러 처벌과 조치가 따를 수 있습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Get link
- X
- Other Apps
보안각서 작성 시 인적사항을 허위로 작성하여 제출하는 경우, 형사상과 민사상의 여러 처벌과 조치가 따를 수 있습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형사상 처벌 ### 1. **사문서위조 및 위조사문서 행사죄** - **관련 법조문**: 형법 제231조, 제234조 - **처벌**: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 **내용**: 타인의 명의를 모용하여 사문서를 작성하거나, 위조된 사문서를 행사할 경우에 해당됩니다. 허위로 작성된 인적사항이 타인의 명의로 작성된 경우, 이 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예시**: - 보안각서에 허위 인적사항을 기재하여 제출한 경우, 특히 이 인적사항이 실제 존재하는 타인의 이름 등인 경우. ### 2.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 - **관련 법조문**: 형법 제137조 - **처벌**: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 **내용**: 위계로 공무원의 직무 집행을 방해한 경우에 해당됩니다. 허위 인적사항을 이용해 행정처리나 공무원의 직무를 방해한 경우 이 죄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시**: - 보안각서가 제출된 과정에서 이를 검토하는 공무원의 업무를 기망하여 직무 집행을 방해한 경우. ### 3. **업무방해죄** - **관련 법조문**: 형법 제314조 - **처벌**: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 **내용**: 허위 사실을 이용해 타인의 업무를 방해한 경우에 해당됩니다. 보안각서를 필요로 하는 업무나 절차가 허위 인적사항으로 인해 방해된 경우입니다. **예시**: - 허위 인적사항이 적힌 보안각서로 인해 사업의 진행이나 공공의 업무에 차질이 생긴 경우. ## 민사상 조치 ### 1. **손해배상청구** - **관련 법조문**: 민법 제750조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 - **내용**: 허위 인적사항으로 인해 발생한 손해에 대해 배상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피해자가 입은 손해를 입증하고, 그 손해가 허위 인적사항 기재로 인한 것임을 증명해야...
**총판계약서**상 제3자에게 권리를 양도하지 말라는 조항을 위반하여 손해배상 책임이 인정된 대법원 판결 사례로 **대법원 2011다87931 판결**이 있습니다. 이 판례는 총판계약에서의 권리 양도 금지 조항을 위반한 사례입니다.
- Get link
- X
- Other Apps
**총판계약서**상 제3자에게 권리를 양도하지 말라는 조항을 위반하여 손해배상 책임이 인정된 대법원 판결 사례로 **대법원 2011다87931 판결**이 있습니다. 이 판례는 총판계약에서의 권리 양도 금지 조항을 위반한 사례입니다. ### 대법원 2011다87931 판결 **사건 개요**: - A사는 B사와 총판계약을 체결하면서, 제3자에게 권리나 의무를 양도할 수 없다는 조항을 포함시켰습니다. - 그러나 B사는 A사의 동의 없이 자신의 총판 권한을 C사에게 양도하였습니다. - A사는 이를 이유로 계약 해지 및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1. **권리 양도 금지 조항 위반 인정**: 대법원은 계약서상 제3자에게 권리를 양도하지 못한다는 조항을 위반한 B사의 행위를 계약 위반으로 인정했습니다. 2. **손해 발생 및 인과관계**: B사의 권리 양도는 A사에게 경제적 손실을 초래했으며, 이 손해는 권리 양도와 인과관계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3. **손해배상**: B사는 계약을 위반함으로써 발생한 A사의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판결 요지**: - B사가 A사와의 계약을 위반하여 권리를 제3자에게 양도함으로써 A사에게 손해를 입혔으므로, B사는 이로 인해 발생한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 **판례 원문에서의 주요 문구**: - "원고(A사)와 피고(B사) 간의 총판계약서에는 '피고는 원고의 서면 동의 없이 계약상의 권리나 의무를 제3자에게 양도할 수 없다'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고, 피고가 이를 위반하여 제3자에게 권리를 양도하였으므로, 이는 계약위반에 해당한다." - "피고의 계약위반으로 인하여 원고에게 손해가 발생하였고, 피고는 이에 대한 손해배상의 책임이 있다." ### 판례 링크 - [대법원 2011다87931 판결](https://glaw.scourt.go.kr/wsjo/panre/sjo100.do?contId=2106010&hanjaYn=Y&docTyp...
이 판례는 허위 계약서를 통해 고의적으로 기망한 행위가 불법행위에 해당하며, 그로 인한 손해에 대해 배상 책임을 진다는 중요한 법적 판단을 제시합니다. 이 판례를 통해 허위 계약서에 의한 기망행위에 대한 법적 책임이 명확히 규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Get link
- X
- Other Apps
허위 계약서를 체결하여 고의적으로 기망하여 손해를 입힌 경우에 대한 대법원의 손해배상 판례로 **대법원 2015다25998 판결**이 있습니다. 이 판례는 허위 계약서를 통해 기망행위를 한 사례에 대해 설명합니다. ### 대법원 2015다25998 판결 **사건 개요**: - 원고는 피고와 임대차 계약을 체결했는데, 피고가 실제 소유자가 아닌 사람과 허위 계약을 맺도록 유도하여 임대차 보증금을 받았습니다. - 원고는 피고의 기망으로 인해 손해를 입었다며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1. **기망행위 인정**: 대법원은 피고가 실제 소유자가 아닌 다른 사람을 마치 소유자인 것처럼 속여 원고와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게 한 행위를 기망으로 인정했습니다. 2. **고의성**: 피고의 행위가 고의적이고, 계약 체결 당시 피고가 원고를 속일 의도가 있었다고 판단했습니다. 3. **손해 발생 및 인과관계**: 원고는 피고의 기망으로 인해 임대차 보증금을 지급함으로써 손해를 입었으며, 이 손해는 피고의 기망행위와 인과관계가 있다고 인정했습니다. 4. **손해배상**: 원고가 입은 손해에 대해 피고가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판결 요지**: - 피고는 원고를 기망하여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도록 유도했고, 이에 따라 원고가 금전적 손해를 입었으므로, 피고는 그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 **판례 원문에서의 주요 문구**: - "피고는 허위의 계약서를 작성하여 원고를 속이고, 이를 기초로 원고로부터 금원을 수령하였으므로, 피고의 이러한 기망행위는 불법행위에 해당한다." - "원고는 피고의 기망행위로 인하여 계약서에 따라 금원을 지급함으로써 손해를 입었으므로, 피고는 그 손해를 배상할 의무가 있다." ### 판례 링크 - [대법원 2015다25998 판결](https://glaw.scourt.go.kr/wsjo/panre/sjo100.do?contId=2182750&hanjaYn=Y&docType=2...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 민사소송에서 승소하려면, 민법상의 불법행위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주요 구성요건은 **위법성**, **고의 또는 과실**, **손해 발생**, **인과관계**로 구분되며, 이를 입증해야 합니다. 다음은 이 요건들을 상세히 설명한 것입니다.
- Get link
- X
- Other Apps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 민사소송에서 승소하려면, 민법상의 불법행위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주요 구성요건은 **위법성**, **고의 또는 과실**, **손해 발생**, **인과관계**로 구분되며, 이를 입증해야 합니다. 다음은 이 요건들을 상세히 설명한 것입니다. ### 1. 위법성 (불법행위) - **법적 의무 위반**: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법률에서 금지하는 행위를 한 경우입니다. - **사회 통념상 허용되지 않는 행위**: 법적으로 명확히 금지된 행위가 아니더라도, 사회 통념상 용인될 수 없는 행위도 포함됩니다. **예시**: - 폭행, 사기 등 명백히 법률에서 금지된 행위. - 공공장소에서 폭력 행사를 통해 타인에게 심리적 손해를 입힌 경우. ### 2. 고의 또는 과실 - **고의**: 손해를 발생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행위를 한 경우입니다. - **과실**: 신중을 기해야 할 의무를 소홀히 하여 손해를 초래한 경우입니다. **예시**: - 고의: A가 B를 때려 상해를 입히려는 의도를 가지고 폭행. - 과실: 운전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사고를 일으킴. ### 3. 손해 발생 - **재산적 손해**: 물질적인 피해나 금전적인 손실입니다. - **정신적 손해**: 정신적 고통이나 불쾌감을 포함합니다. (위자료) - **기타 손해**: 신체적 상해, 명예훼손으로 인한 피해 등도 포함됩니다. **예시**: - 재산적 손해: 교통사고로 인해 차량 수리비가 발생. - 정신적 손해: 명예훼손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 ### 4. 인과관계 - **직접적인 인과관계**: 행위와 손해 사이에 명확한 원인과 결과가 존재해야 합니다. - **상당 인과관계**: 행위와 손해 사이에 사회 통념상 인정될 수 있는 인과관계가 존재해야 합니다. **예시**: - 직접적인 인과관계: A의 폭행으로 B가 상해를 입어 병원 치료를 받게 됨. - 상당 인과관계: A의 잘못된 정보로 인해 B가 투자 손실을 입음. ### 추가 고려 사항 1. **손해배상의 범위**: ...
**재물손괴죄(財物損壞罪)**는 형법 제366조에 규정된 범죄로, 타인의 재물을 손괴하거나 그 효용을 해하는 행위입니다. 재물손괴죄의 구성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Get link
- X
- Other Apps
**재물손괴죄(財物損壞罪)**는 형법 제366조에 규정된 범죄로, 타인의 재물을 손괴하거나 그 효용을 해하는 행위입니다. 재물손괴죄의 구성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객체: 타인의 재물 - **타인의 소유**: 재물손괴죄의 대상이 되는 재물은 타인의 소유여야 합니다. 자신의 재물을 손괴하는 것은 이 죄의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 **재물의 범위**: 재물은 유체물뿐만 아니라 전기와 같은 에너지도 포함됩니다. 여기에는 동산, 부동산, 전기 등이 포함됩니다. **예시**: - A가 B의 자동차를 망치로 부숩니다. - A가 B의 집 창문을 깨트립니다. ### 2. 행위: 손괴 또는 효용 해침 - **손괴**: 재물을 물리적으로 파손하거나 파괴하는 행위입니다. - **효용 해침**: 재물의 본래 목적대로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행위도 포함됩니다. 여기에는 재물의 가치를 저하시키거나 본래 기능을 손상시키는 행위가 포함됩니다. **예시**: - A가 B의 노트북에 물을 쏟아 기능을 상실하게 합니다. - A가 B의 집 앞에 대문을 콘크리트로 막아 출입을 방해합니다. ### 3. 고의: 고의적 행위 - **고의**: 손괴 또는 효용 해침이 고의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즉, 행위자가 재물을 손괴하거나 효용을 해하려는 의사를 가져야 합니다. - **우연한 사고**나 과실로 인한 재물 손괴는 재물손괴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예시**: - A가 B의 재물을 파손할 의도를 가지고 망치로 때렸습니다. - A가 B의 집에 불을 질러 고의적으로 소실시켰습니다. ### 4. 범죄의 완성: 실제 손괴 또는 효용 해침의 발생 - **실제 손해 발생**: 재물손괴죄는 손괴 행위가 실행되어, 실제로 재물의 손괴나 효용 상실이 발생해야 합니다. - **미수범**: 형법 제366조의2에 따라 재물손괴 미수범도 처벌됩니다. **예시**: - A가 B의 자동차 유리를 완전히 깨트려야 죄가 성립합니다. - A가 B의 기계에 나사를 풀어서 기능을 못하게 하여야 합니다. ### 관련 법조문 -...
프라이버시 법은 정부, 기타 공공기관과 사영 기업들에 의하여 수집되고 보관, 사용되는 개인정보에 관하여 규율하는 법을 말한다.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받지 않을 권리의 구체적 맥락으로 이해되고 있다.
- Get link
- X
- Other Apps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는 헌법상 기본권이다. 모든 국민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침해 받지 아니한다(17조). 이것은 소극적으로는 인격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그의 사적(私的)인 일들과 사생활의 내용을 공개 당하지 아니하고, 적극적으로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활동하고 생활해 가는 것을 침해 또는 간섭 받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다.
- Get link
- X
- Other Apps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란 자신에 관한 정보를 보호받기 위하여 자신에 관한 정보를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권리이다
- Get link
- X
- Other Apps
국가공무원법 제60조 공무원은 재직 중은 물론 퇴직후에도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엄수해야 할 비밀엄수의 의무를 진다.
- Get link
- X
- Other Apps
대한민국 헌법 제17조는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보장하는 대한민국 헌법의 조항이다. 모든 국민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침해받지 아니한다.
- Get link
- X
- Other Apps
개인정보보호법에서는 구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과 달리 공공기관뿐 아니라 법인, 단체, 개인 등으로 개인정보처리자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 Get link
- X
- Other Apps
대한민국 개인정보 보호법은 개인정보의 수집 · 유출 · 오용 · 남용으로부터 사생활의 비밀 등을 보호함으로써 국민의 권리와 이익을 증진하고, 나아가 개인의 존엄과 가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법률이다.(시행 2013년 3월 23일, 법률 제11690호)
- Get link
- X
- Other Apps
하이브에서 민사소송을 제기하지도 않을 것 같고, 하더라도 오래오래 끌 것이고, 고발사건도 유야무야 종결될 것 같다
- Get link
- X
- Other Apps
"배신이라는 말에 집착하는 사람이 많은데, 그건 법적인 용어가 아니다"며 "배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단어일 뿐"
- Get link
- X
- Other Apps
하이브가 가처분 결정에 반하여 의결권 행사를 하는 경우 200억원의 간접강제금을 민 대표에게 배상해야 한다
- Get link
- X
- Other Apps
민희진 대표가 고의 또는 중과실로 어도어 또는 하이브 그 계열회사에 손해가 발생할 수 있는 행위를 했다거나 그와 같은 행위를 하지 않을 의무를 중대하게 위반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 Get link
- X
- Other Apps